[재테크] 사회초년생 재테크의 기초 ! 월급쪼개기
지난 주 부터 이어져온 사회초년생 꿀팁입니다!
사회초년생 시리즈 보러가기 1
오늘은 어떻게 월급을 쪼개야 하나?!!! 월급쪼개기 에 대해 알아봅니다.
사회초년생, 신입사원들은 월급을 어떻게 쪼개면 잘 쪼갰다는 소리를 들을 지 궁금하실 겁니다.
월급 잘 쪼개는 법 40/30/20/10 만 기억하면 어렵지 않습니다.
40,30,20,10
1. 저축은 월급의 40%
사회초년생들은 개인 생활비나 용돈 이외에 특별히 돈이 들어가는 항목이 많지 않습니다.
아마 술 마시는 데 제일 많이 쓸 것 같은 … ㅜㅜ
그러니 월급쪼개기 를 할 때 40%는 꼭 저축하세요!
물론 여유가 된다면 40% 이상을 저축하도록 합니다.
2. 생활비는 월급의 30%
생활비를 정할 때, 저축이나 부채상환 등의 고정 지출비용을 빼고
남은 금액을 생활비로 정하면 안 좋은 소비습관으로 이어질 수 가능성이 높습니다!
생활비 한도를 미리 정해놓는 것이 좋습니다.
3. 기타 비용은 월급의 20%
부채를 갚는 데 쓰되, 부채가 없다면
저축 또 저축하세요 🙂
4. 보험비는 월급의 10%
혹시 모를 사고 위험을 위해 보험에 꼭 가입하세요.
물론 자금이 충분한 경우 비율을 더 높이기도 하지만, 아직 소득이 높지 않은 사회초년생의 경우에
월급의 6~8% 정도가 적당합니다.
4/3/2/1 법칙으로 3년 동안 3% 적금에 가입한다면,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요?
연봉이 2,400만원 연봉 직장인 경우 3,00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!
3,600만원 연봉 직장인이라면 4,500만원 넘게 저축할 수 있네요!
결국 목돈을 모으는 데는 꾸준한 저축이 답인 것 같습니다!
핀다와 함께 금리높은 적금도 찾아보고 목돈 마련 함께 시작해보세요 🙂
핑백: [돈 모으기] 2030대 돈 버는 습관, 5가지만 기억하자! - 핀다
핑백: 선저축 후소비 : 자동이체가 날 도와줄거야 -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살아남기